티스토리 뷰
목차
혹시 재산세 납부기간을 지나쳐 가산금 폭탄 맞아보신 적 있으신가요?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납부일을 놓치고 불이익을 당하곤 합니다.
하지만 단 3분만 투자하면, 여러분도 재산세 걱정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어요.
특히 올해는 카드납부 혜택까지 제대로 챙길 수 있는 꿀팁까지 전해드릴게요.
재산세는 언제, 누가 납부해야 하나요?
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부동산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. 이 날짜를 ‘과세기준일’이라 하며, 그 시점에 소유한 사람이 납부의무를 지게 됩니다.
예를 들어, 6월 1일 전에 집을 팔았다면 새 주인이 납부하고, 6월 1일 이후에 팔았다면 기존 소유자가 내야 합니다.
납부기간, 놓치면 가산금이 생긴다!
재산세 납부는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.
- 주택분 재산세: 7월, 9월 두 차례
- 건축물, 선박, 토지: 7월 또는 9월
납부기간은 통상 7월 16일~31일, 9월 16일~30일 사이로, 딱 15일만 주어집니다.
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3% 가산금이 발생하며, 이후에는 매월 0.75%의 추가 가산금까지 더해져 큰 손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재산세는 어떤 기준으로 얼마나 나오나요?
재산세는 보유한 부동산의 ‘공시가격’과 ‘공제금액’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예시로 1가구 1주택 기준 공제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.
주택 종류 | 공제 기준 |
단독주택 | 6억원 |
공동주택 | 9억원 |
즉, 공시가격이 5억이라면 세금은 0원, 7억이라면 1억에 대해 세율(0.1~0.4%)을 적용해 세금을 산정하게 됩니다.
납부방법, 이렇게 하면 쉽고 간편해요
요즘은 재산세 납부 방법이 다양해졌습니다. 아래에서 가장 편리한 방식을 선택해보세요!
- 위택스(Wetax) 인터넷 납부: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후 납부 가능
- 신용카드 납부: 위택스, 은행 ATM, ARS로 납부 가능
무이자 할부 혜택까지 챙기면 부담 없이 나눠 낼 수 있어요! - 가상계좌 이체: 고지서에 명시된 계좌로 송금
- 모바일 앱 ‘지방세입’: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납부
특히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를 활용하면 목돈 부담을 줄이고 연말 소득공제도 챙길 수 있어 일석이조예요.
재산세 고지서, 모바일로 받아보자
이제는 종이 고지서 없이도 납부가 가능합니다. 이메일 또는 스마트폰으로도 고지서를 받을 수 있어 관리가 훨씬 편리해졌죠.
위택스 또는 지자체 사이트에서 이메일 고지서 신청만 해두면 끝!
Q&A
Q1. 재산세를 분할 납부할 수 있나요?
A. 세액이 20만원을 초과하면 7월과 9월로 자동 분할됩니다. 추가적인 분할은 불가하지만, 카드 무이자 할부를 이용할 수 있어요.
Q2. 납부 확인서는 어떻게 발급받나요?
A. 위택스에서 직접 출력하거나, 거주지 지자체 세무과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Q3. 자동이체 신청도 가능한가요?
A. 가능합니다. 위택스 또는 은행을 통해 자동이체를 신청할 수 있으며, 카드 자동이체는 지자체별로 상이하니 확인이 필요합니다.
Q4. 재산세 연체 시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?
A. 3%의 가산금이 즉시 부과되며, 이후 매월 0.75%씩 추가 가산금이 발생합니다. 장기 연체 시에는 압류 조치도 가능합니다.
스마트한 납부로 가산금 없이 재산세 정복하기!
재산세는 한 번 실수로 연체되면 생각보다 큰 금액을 더 내야 합니다. 하지만 납부기한만 체크하고 간편한 납부 방법을 활용하면 스트레스 없이 관리할 수 있어요.
저는 작년부터 위택스 자동이체와 카드 무이자 할부를 이용하며 납부 부담을 확실히 줄였습니다.
올해는 여러분도 미루지 말고, 똑똑하게 재산세 정리해보세요!